안녕하십니까?
1. 수용성 징크와 용제형 징크란 보통 자기경화 수용성 징크도료와 자기경화 용제형 징크도료를 각각 말하여 그 경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1.1 자기경화 수용성 징크도료:
수용성 Alkali (Potassium / Lithium) Silicate 용액에 금속 아연말을 혼합 후 도장하면, 도막에서 물이 증발하고 대기 중의 탄산가스(CO2)와 반응하여 경화합니다.
며칠, 몇 달, 몇 년에 걸쳐 도료는 공기나 도장 표면의 습기의 존재 하에 실리케이트와 아연이 반응하여 경화됩니다. 이들 도료 중 어떤 것은 다른 도료보다 많은 습기가 필요합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대기 중의 습기에 폭로됨으로 인하여 탄산아연과 수산화아연이 생성되어 도료의 공극이 감소하고 일정한 도막이 얻어집니다.
1.2 자기경화 용제형 징크도료:
Alkyl (Ethyl) Silicate를 가수분해 한 후, 금속 아연말을 혼합하여 도장하면, 대기 중의 수분과 경화반응이 야기됩니다. 이들 시스템은 가장 먼저 대기 중의 습기에 의존하여 완전히 가수분해되어 폴리실리케이트 형태로 됩니다.
이들은 완전한 경화를 위하여 상당한 습도가 공기 중에 존재하여야 합니다. 이들은 덥고 건조한 조건에서는 잘 경화가 되지 않거나 완전하지 않으므로, 이런 기후에서는 물을 도료 위에 살짝 미세하게 분사하여 완전히 경화되도록 합니다.
2. 칙소트로피
칙소트로피(thixotropy)란 교반하면(흔들리면) 겔(gel)에서 유동성 졸(sol)로 변하고, 정치(정지)하면 다시 겔로 돌아가는 성질로서 요변성(搖變性)이라고 번역합니다. 이 특성은 도장 시공시 흐름성과 평활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