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고가 많으십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이렇게 몇자 적습니다.
중방식 도장의 SVR(부피고형분)은 교육을 통해서 배워서 알고 있으나, 목재 도장에서는 MV라는 용어
를 쓰고 있더군요!
현재 악기(기타)도장을 하고 있으며....
하도 40~60㎛
중도 750~1000㎛
상도 60~90㎛ 정도이며..
Policing(연마후광택작업)을 거쳐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1. SVR과 MV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MV는 정확히 어떤 의미 입니까?
그리고, 주제와 경화제 모두에 불휘발분이라는 것이 존재 하던데..
2. 주제의 불휘발분이 26%이고, 경화제의 불휘발분이 56%일 경우 1:1 배합의 경우 DFT와 WFT는
어떻게 산출을 해야 하는지요? 평균을 적용해도 되는지..
금속도장에 비해 목재의 도막을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투명도료인데다, 목재의 흡습성 때문에...
3. 목재의 도막측정법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4. 목공용 도료의 연마성(내마모성)?을 측정하는 기준은 있는지요?
적다보니 질문이 두서없이 많군요...
목공용 도료에 관한 자료나 사이트 있으면, 소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