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차계에 표시되는 부분에 대해서 의문점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그림과 같이 색차값을 측정하면 ⊿E 0.31, ⊿L -0.15 , ⊿a -0.23 , ⊿b 0.12 라는 색차값이 측정이 됩니다.
여기서 ⊿E, ⊿L , ⊿a , ⊿b 는 무엇을 의미하며, 위와 같이 L,a,b값이 (-)를 보일때와 (+)를 보일때 이런값들에 대해 어떻게 변화를 주면 색차값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 합니다.
그리고 도장 표면에 대해 한가지 더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현제 산처리된 알루미늄 표면에 하도,중도, 상도(CLEAR 제외)의 도장을 올립니다.
(상도 색상은 RED색상으로 COLOR NO. RED RAL3020 계열 PAINT를 사용 합니다.)
헌데 도장 완료후 장시간 보관에 따른 표면에 거침 현상이 발생하여, 컴파운드로 표면을 닦았는데 표면이 뿌옇게 변하면서 당연히 색차값도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것저것 작업을 해 보았으나 뿌옇게 변한 표면이 좀처럼 원상태로 복원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컴파운드 작업을 하지 않으면 표면이 푸서푸석한것 같이 거칠어 납품이 되지 않고, 컴파운드 작업을 하면 표면이 뿌옇게 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입니다.
이에 대한 답변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