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용제가 증발하지 못하고 도막 내부에 포집되어 있으므로 수지가 경화되지 못하고 유연한 상태로 남아 있는 현상, 즉 용제에 의하여 일종의 가소성이 존재하는 효과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