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HOME > 커뮤니티 > Q&A
  
    백녹현상 처리방법  
--- 최정일 --- 13878
글쓴날짜 : 2012-08-28

아래 글을 보면 아연도금의 백녹현상의 제거방법 관련 문의드립니다.

1. 약한 암모니아수 나 약한 초산을 이용하여 제거가 가능하시다고

하셨는데 위의 약품들을 사용하여 백녹을 제거할 경우

백녹과 함께 아연도금에 손상(벗겨짐?)이 발생하지는 않습니까?

2. 약한초산 대신 아세톤 혹은 빙초산 또는 식초와 같은 실생활에서

구하기 쉬운 것으로도 사용을 해도 되는 것인지요?

 

위 질문의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아연도금 후 습기나 수분에 노출되면 백녹과 백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초기 폭로현상의 하나인 백녹이 더 진행되면 백화 즉 ZINC SALT가 발생하게 됩니다.

백화는 자연스레 아연이 철을 보호하기 위해 발생되는 것이며 방식상의 문제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후속도장이 필요할 경우는 반드시 제거하고 스펙에 맞는 전처리 후 후속도장을 진행해야 하며

후속도장이 없는경우는 INSPECTION의 문제일 경우가 높습니다.

장마철이나 갑작스런 우천으로 수분에 노출되면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1차적으로는 미지근한 물로 닦아내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물은 건조 후 증발되며 표면에 다른 화학적인 반응을 남기지 않으므로 일시적인 조치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차적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묽은 초산이나 암모니아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것 또한 일시적인 방법이므로 건조되고 나면 심한경우 처음보다 더 많은 백화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사용 후 아연표면이 손상되거나 벗겨지지는 않습니다. 생각보다 알로이화 된 아연표면의 경도는

높답니다. 아세톤이나 빙초산의 경우는 사용해 보지 않아 모르겠습니다만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3차적으로는 현재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는 케미칼 제품입니다. 

  EX)CLEANER Z-500 (용융도금 백태현상 크리너)

  제조원: (주) 케미칼 코리아 (TEL:051-832-2333~5)

산성 계열의 화학제품이므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비용발생 및 효과의 지속기간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많은 부분 간과하는 것 중에 하나가  아연표면에 있는 스팽글이 계속 지속된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열간압연시 발생하는 밀스케일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초기에는 광택을 유지하며 철을 보호하지만 수분에 노출되고 공기중에 폭로되면 그 기능을

점차 상실하게 되며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아연이 아연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게 되는 시점입니다.

원래 아연의 색상은 회색(ZINC POWDER 색상) 입니다. 은빛이 나는 것은 아연이 아닌 알미늄이며

아연의 유연성과 광택 산화방지등의 이유로 첨가합니다.

아연도금의 특성을 다시 확인 하시고 비주얼상의 문제만 아니라면 굳이 제거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혹이 페이퍼를 사용하시면 물 세척전(모든액체)에 최소 400이상의 매쉬를 사용하셔서

약하게 전처리 해주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ASTM에서도 언급하는 COLD ZINC로 보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수용 COLD ZINC는 알미늄 색상과 유사한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후속도장이 있는 경우는 부착이 좋지 않아 절대 금지입니다.

백화방지를 위해 후속도장이 없는 것은 크롬처리를 하기도 하지만 크롬의 선택 색상에 따라 갈색의

얼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번 호 제 목 이 름 날 짜 조 회  
1298 아연도금 백녹제거 관련 추가 질문. 이상호  2012/08/28  13227
1301    백녹현상 처리방법 최정일  2012/08/28  13879

이전글 dolly test 판정에 관하여... 임우창  2012/09/24 
이전글 광명단 1종 1류와 2류의 사용상의 선택기준은 무엇인가요 김진욱  2012/09/19 
다음글 도장 신뢰성 test 관련 문의의 件. 이고영  2012/08/15 
다음글 고급도장감리원 자격 유효기간에 대해 장선호  2012/08/14 

사단법인 한국도장인증기술협회   |   고유번호 : 211-82-12698
우)135-545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131 페인트잉크회관 | TEL : 02-518-4180~2 | FAX : 02-518-4220 | E-mail : kace@kacetech.or.kr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